본문 바로가기
정부 지원

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비교, 6% 금리로 목돈 마련하자 !

by edsheeeran 2023. 3. 14.

청년도약계좌는 저소득층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정부 정책입니다. 월 40~ 70만원 납부하면, 최대 5000만 원을 가질 수 있게 해 줍니다. 현재 나온 은행, 정부지원정책 중 가장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입니다. 딱 2분만 투자하셔서 꼭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.

 

 

 

청년도약계좌 조건

청년 만 19세부터 34세 대상으로 2004년생부터 1989년생이 해당됩니다. 그리고 추가로 병역이행 했을경우 최대 6년까지 늘어나서 40세까지도 가능합니다.

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만 가능하며 연소득 60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. 최대 5000만 원의 금액은 내가 5년 동안 넣은 돈과 정부기여금이 합쳐진 합계 금액으로, 정부 기여금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장점

  • 최소 3년 고금리에 고정 금리
  • 청년도약계좌 이율은 최대 6%
  • 실업급여와 중복 가능
  • 내일채움공제 내일저축계좌와 중복가능

소득별-이율

연소득 2400만원 이하 청년이 가장 많은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 당연히 월 최대납입한도인 70만 원을 납입했을 때, 가장 많은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, 5년 만기 조건이기 때문에 월 납입액을 신중하게 선정해야 합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

청년도약계좌와-청년희망적금을-비교한-것
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중복이 안됩니다. 대신 청년희망적금이 끝난 후 청년도약계좌로 가입은 가능합니다. 소득요건을 보면, 기존 3600만원 이하였던 조건이 6000만 원 이하로 변경되어 더 많은 사람들이 가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. 또 납입액도 최대 70만 원까지, 지원금도 최대 6%까지 지원이 되어서 더욱 혜택이 늘어났습니다. 하지만,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.

  • 청년도약계좌 주의할 점

5년 만기라는게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입니다. 5년이라는 시간이 꽤 길기 때문에 그동안 70만 원 납입이 가능한지, 목돈이 5년 동안 묶여있어도 되는지 상황을 잘 생각해봐야 합니다. 도중에 해지를 할 경우에 감면받은 세금을 다시 추징하기 때문에, 조금 애매한 상황이라면 40만원 납입을 택하는 게 더 현명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청년도약계좌 언제부터 신청 가능한가? 

2023년 6월 중 출시예정이며 아직 정확한 출시일 날짜는 나오지 않았습니다.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